250x250

Xtra의 그 무엇

블로그 이미지
욕심많아 진도 느린 Xtra입니다.
by Xtra
  • Total hit
  • Today hit
  • Yesterday hit

728x90
728x90

이것 때문에 약 5일가량 고생을 했습니다. 정말 안타 까운 시간 낭비의 5일간이였지만 성공을 했고...

과정에서 접한 설명들을 더 가볍게 만들 수 있을지 않을까 싶어서 적습니다.

 

요약하면

1. USB에 가상 하드를 넣는다.

2. USB에 윈도우를 설치한다.

 

 

그럼 자세히 풀어보겠습니다.

 

0. USB를 컴퓨터에 연결한다.

= 준비한 USB는 당연히 3.0이겠죠, 아닐리가 없죠. 2.0의 느린 속도로 OS를 돌릴리가 없습니다.

= USB단자가 파란것이 3.0입니다. 검은 쪽에 어두운 미래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1. USB에 가상하드를 만든다.

제어판 -> 관리도구 -> 컴퓨터 관리 -> 저장소 -> 디스크 관리

 

USB를 선택하고 상단 메뉴 중 동작에서 VHD 만들기를 합니다.

 = 전 여기서 첫번째 실수를 했는데 폴더에서 "저장"입니다. 불러오는 건줄 알고 VHD파일 만드는 삽질은 하지 마셔야합니다.

주의 용량을 좀 남겨야 합니다. 나중에 부트 파일인가 만들때 약 "25메가"가 들어갑니다.

 

!! 기다립니다. 가짜하드가 만들어지는 진행 상황은 관리도구 하단에 막대와 %로 표기됩니다. !!

 

다 되면 새로운 HDD(하드)가 잡힙니다.

하드가 0 USB가 1 가짜하드가 2 만약 하드가 더 있다면 가짜 하드의 번호는 그 수 만큼 밀릴겁니다.

 

디스크 관리 끄지마세요. 계속 함께합니다.

이제 명령 프롬프트(관리자)를 실행합니다.

여기서 그 가짜 하드를 쓸수 있는 녀석으로 만드는 명령을 몇가지 실행할겁니다.

 

명령어 DIskpart

아무튼 Diskpart라는 것을 실행하는겁니다. 뭔지는 모르지만...

 

명령어  select  disk 가짜하드 번호

 

명령어 clean

청소?

 

명령어 create partition primary

파티션 만들기는 사실 마우스 클릭으로도 가능하죠.

 

명령어 format fs=ntfs quick

포멧도 그냥 빠른 포멧일 뿐이니 마우스로 가능하죠.

 

명령어 active

이것도.... 가능한걸 봐선 clean도 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

 

명령 프롬프트는 끄지 말고 디스크 관리로 돌아옵니다.

이제 가짜 하드에게 드라이브를 할당합니다.

 

이제 다시 명령 프롬프트로 돌아와서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2. USB에 윈도우를 설치한다.

 

아래 명령어는 저한테 맞춘겁니다.

 

명령어 dism /apply-image /imagefile:e:\window8.1\sources\install.wim /index:1 /applydir:g:

 

어디를 수정해야하냐면

 e:\window8.1\sources\install.wim

 

저는 e드라이브에 windows8.1이라는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iso파일을 압축을 풀어서 넣었습니다.

주의로 wim가 없으면 만들어야합니다.

 

g: 가장 마지막에 이것은 가짜하드의 위치입니다.

 

이제 USB에 부팅 파일을 만들어 주면 모든것이 끝납니다.

 

명령어 bcdboot g:\windows /s f: /f all  <- 용어 설명 ( http://blog.naver.com/dataryu/110185774416 )

약 25메가입니다.

 

3. 끝

전 부팅 첫번째에는 뭔가 설정을 하고 다시 재부팅하는 두번째에서 정상 작동했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상당히 느려집니다. 전 프로그램은 다른 하드에서 실행되니까. OS가 깔린 하드의 영향이 그리 크지 않을거라 생각했었는데...

이일을 계기로 SSD에 OS를 깔아야 한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제가 가장 의미지한 블로그 입니다.

http://jeonjy79.blog.me/220284311054

 

처음에 따라해서 실패한 곳이자 마지막에 가장 제대로된곳이라 생각이들어서 돌아온곳 입니다.

어떤 실패로 돌아섰냐면...

 

가짜 하드를 안 만들고 그냥 USB에 같은 방법으로 윈도우를 설치했습니다.

그랬더니 부팅은 되는데 하드가 없어서 추가로 설치 파일을 설치하지 못하는겁니다.

 

그러니까 1과정을 빼고 USB 연결 뒤에 바로 2과정을 진행해서 설치해도

윈도우가 실행됩니다.

 

놀랍...

 

 

추가

만약 가짜하드가 보이지 않아서 2번 과정을 진행 못할 경우에는 그냥 다시시작하면 됩니다.

그래도 안되면 1번 과정 다시해봐야겠죠.

 

 

728x90
728x90
AND

ARTICLE CATEGORY

전체 카테고리 (1025)
게임 개발 (10)
기획 파트 (25)
그래픽파트 (75)
思-네트워크 (117)
프로그래밍 (75)
2020 ~ 25 잡탕 (467)
2010 ~ 19 잡탕 (197)
만화 연재 (14)
소설 연재 (12)
기타 연재 (0)
네오스 VR (18)
그란 카 리버리 (15)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CALENDAR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