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x250

Xtra의 그 무엇

블로그 이미지
욕심많아 진도 느린 Xtra입니다.
by Xtra
  • Total hit
  • Today hit
  • Yesterday hit

728x90
728x90

선 요약

후 사설

 

 

 

 

요약

   MAME에는 업데이트 되면서 추가된 실행 기능은 설치하면 기본으로 깔린다.

   - GB, GBC, GBA, MD, MSX, NEOGEO, SMS, PCE 등등 자세한 것은 설명을 찾아 보자

   

   폴더 정리 할 수 있다.

    - main.ini

 

   과거 버전마다 파일을 관리해야 하는것과 달리 최신 버전에 필요한 폴더와 파일 몇개만 옮기면 된다.

    - 아트워크, 롬, CFG에 Default, main.ini 등등 커스텀 하거나 수집한 파일 등등

 

 

 

 

 

사설

 이번에 많이 알게 되었는데 이전 에뮬이라고 하면 대부분은 기능에 업데이트 되면 별도로 추가해야만 했다면 지금은 바이오스와 롬 파일만 있으면 어지간하면 실행이 되고 확실히 과거 마메는 버전 마다 작동하는 게임이 다른 느낌이었는데 지금의 마메는 어지간하면 문제가 없는것 같다. 왜 "같다"라 적었냐하면 사실은 다른 버전으로 작동시키고 있는 게임들이 몇가지 있는데 이건 내가 마메를 사용하는 방법이 미숙해서 생기는 문제인것 "같기"때문이다. 지금은 하나씩 해결 하고 있고 최종적으로는 전부 해결 할것 "같다"

 

 

 문제 해결은 다음 같이 세가지가 많았다.

 - 폴더 명 문제

 - bios 문제

 - rom 파일 문제

 

 본래 마메는 폴더 구분이 없다. 그냥 rom폴더에 모든 게임을 넣어야 한다. bios도 마찬가지 이다. 이것 떄문에 파일관리가 매우 어려웠었는데 어트렉트에서는 이 폴더가 구분되어 있었다. 즉 다른 버전의 마메로 업그레이드 하려고 rom을 옮기려 해도 그 폴더의 원리를 모르면 모든 게임의 rom파일을 하나의 폴더에 넣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파일 관리가 매우 힘들어지기 때문에 게임을 추가 삭제 하기가 매우 어려워 진다. 이 끔찍한 상태가 싫지 않은 사람이라면 무제 될것은 없다. 그냥 rom 파일에 다 집어 넣고 작동 시키면 된다.

 유지 보수를 포기한다면 좋은 방벙일 수도 있다.

mame.ini
0.01MB

  이 파일은 208버전을 사용하는 어트렉트 모드에 들어있었는데 여기에 경로가 설정되어 있다. 

끔찍하게 길게 늘어진 이것으 그 경로들이다. 본해 없는 파일이기 때문에 어떤 원리로 작동하나 잘 모르겠지만 일단 실행 파일과 함께 있으면 이게 적용된다. 기본은 롬페일에만 있어도 작동하기 때문에 꼭 이 경로대로 파일을 정리하지 않아도 작동 시킬 수 있다. 새롭게 추가한 게임을 해보고 신속하게 지우기에 이보다 좋은 환경은 없다.

 위 경로에 따르면 rom 파일 폴더는 아래 스샷과 같이 정리된다.

 콘솔 폴더는 아래 스샷 과 같다.

 

 폴더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다른 폴더가 필요하면 파일의 경로를 수정하면 된다.

 이는 기본 MAME에는 없는 기능이지만 통합본을 받으면 각자 제작자 방식대로 정리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나는 폴더의 깊이가 깊은것이 싫어서 MAME를 선택했다. 레트로아크는 사양만 많이 잡아 먹을것 같고 실 사용에는 에뮬이 여럿 필요한 시점에서 통합이라고 보기 어려웠다.

 

 

 

 bios 문제

 MAME 설치파일에는 Bios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또 한방팩 같이 누군가가 만든 파일은 최신것이 아니면 Bios가 부족할 수도 있다. 지금 게임이 몇가지 실행되지 않느것이 이 문제 일거라고 생각해고 있어서 최신 Bios 파일을 오늘 내일 받아볼 생각이다.

MAME compatibility list - Emulation General Wiki (gametechwiki.com)

 

MAME compatibility list - Emulation General Wiki

From Emulation General Wiki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This is a VERY incomplete list of compatibility issues that MAME has with different systems. Atari 2600[edit] Rivals Stella in most cases, and is even better in some cases. Atari 5200[edit] Does

emulation.gametechwiki.com

 이 글의 내용을 보면 해당 시스템의 게임들이 모두 실행 되어야 할것 같은데 일단 나는 실패한것이 많다. 그래서 아직 통합 하지 못하고 있어서 어트렉트 모드를 구성하는 에뮬이 20개나 된다. 위 목록 대로 모두 가능하다고 하면 지금의 에뮬 수를 반의반인 5까지 줄일 수 있다.

 이렇게 줄이려고 하는 것은 작은 크기의 파일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또 마메로 작동하면 키 입력을 설정하기가 매우 편해지고 아트워크로 4:3게임의 주변을 꾸밀 수 있다 또 아트워크를 설정할 때 명령어를 이용해서 화면을 좀더 마음대로 꾸밀 수도 있다. 다만 그래픽 설정을 어디까지 할 수있는지 몰라서 그게 단점이 될 수 있다만... 선택지가 없는 만큼 고민도 줄어들지도 1장 1단이다.

 

 

rom파일 문제

 대부분의 파일이 생각보다 용량이 작아서 그것으로 작동 할거라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것이 아니라면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최근 태고의 달인을 실행 해보려고 rom 파일을 받았는데 50MB 정도 하길레 CHD 파일이 필요 없는 줄 알았다. 처음 받은 것은 namcosystem10전체 rom 파일이었고 그중에 대부분은 잘만 실행 되었다. 그래서 더욱 CHD 파일이 필요 없는 줄 알았는데 다른 곳에서 받아야 했던것이다.

 처음부터 같이 포함해두었으면 좋겠지만 이상하게 파일 들이 분산되어 있어서 두번 받는 기분이 들게 만드는 경우가 많이 있다. 작동하지 않는데면 rom파일에 추가로 필요한 파일이 있는지 잘 확인해보자.

 

 

 

마지막으로 도돈파치 최대왕생 언락 파일을 추가해두겠다.

 이것이 기존의 파일과 다른 점은 작동하는데 불필요한 파일을 전부 쳐냈다는것이다. 이게 내가 마메를 업데이트 할때 엄청난 장애물 중 하나였는데 언락 파일에 2019년 파일이 너무나 많이 있어서 버전 하락이 심각하게 일어나 267버전이 제 힘을 발휘하지 못할 정도였다. 하지만 아무래도 이상함을 느껴서 작동하는데 필요한 파일을 골라 보니  실제로 최대왕생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것은 MAME.exe 하나 뿐이었다.

 혹시 267에서 그냥 동작하나 싶어 실행했지만 이 언락 파일을 적용하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는다. 파일이 업로드된 게시물에도 267 전용이라고 적혀 있었던것 같다. 이를 확인하려고 게시물을 다시 찾으려 하니 못 찾겠다. 나는 도대체 이 파일을 어떻게 발견할것일까?

https://drive.google.com/file/d/11oWCQVvkIcPV7P-QTASCZ4ka2SWNUhCJ/view?usp=drive_link

 마메 267을 특정 폴더에서 풀고 언락 파일로 덮어쓰면 정상적으로 도돈파치 최대왕생이 작동한다.

 

 

 

 

 

728x90
728x90
AND

ARTICLE CATEGORY

전체 카테고리 (1027)
게임 개발 (10)
기획 파트 (25)
그래픽파트 (75)
思-네트워크 (117)
프로그래밍 (75)
2020 ~ 25 잡탕 (469)
2010 ~ 19 잡탕 (197)
만화 연재 (14)
소설 연재 (12)
기타 연재 (0)
네오스 VR (18)
그란 카 리버리 (15)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CALENDAR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